엑셀 단축키 설정과 효율적인 작업환경 세팅방법
작업 속도를 높이는 옵션 /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세팅
1. 작업속도를 높이는 옵션
1-1. 매번 글꼴이랑 글자 크기 바꾸기 귀찮을 때
파일 - 옵션 - 일반에서 자주 사용하시는 기본 폰트와 글꼴 크기를 설정해두시면 그때그때마다 매번 바꿀 필요 없이 편사 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셀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 했을 때 폰트와 크기가 설정됩니다.
1-2. 로딩시간 길어지게 만드는 시작화면 없애기
'이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시작화면이 표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시작화면이 표시됩니다. 시작화면은 로딩 속도를 좀 느리게 만들고 불편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위에 보이는 체크사항을 없애주시면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1-3. 한글이나 영문을 빨리 쓸 때 발생하는 자동고침 문제
옵션 - 언어교정 - 자동 고침옵션에서 한/영 자동 고침 메뉴를 해지해주시면 한글이나 영문을 빨리 쓸 때 발생하는 자동고침 문제를 막을 수 있습니다.
1-4. 자동 하이퍼링크 문제
옵션 - 언어교정 - 자동 고침옵션 - 입력할 때 자동서식 창에서 인터넷과 네트워크 경로를 하이퍼링크로 설정을 해지해주시면 www.naver.com이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렀을 때 자동으로 걸리는 하이퍼링크로 인해 불편하셨던 부분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1-5. 자동저장위치 변경
옵션 저장탭에 기본 로컬 파일 위치는 저장 버튼을 눌렀을 때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위치를 가리킵니다. 보통 이런 식으로 내 문서에 저장이 되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를 내가 원하는 곳으로 설정하게 된다면 불필요하게 반복했던 저장 위치 설정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1-6. 보안메시지 안 뜨게 하는 방법
이 화면은 메일이나 인터넷에서 바로 열었을 때 뜨는 화면인데요. 이 메시지가 불편했던 분들은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옵션의 보안센터에서 보안 센터 설정을 클릭해주시고 제한된 보기에서 위의 3가지를 모두 해지해주시면 안내 메시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혹시 해외에서 받은 파일이나 안전이 보장되어 있지 않은 파일을 여는 경우가 많으시다면 오히려 이 체크를 해지하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빠른 실행 도구모음
2-1. 빠른 실행 도구 만들기
리본 메뉴 아래에 빠른 실행 도구 모음 표시를 하시면 상단에 있던 저장과 뒤로 가기, 뒤로가기 했던 것을 다시 취소하는 버튼을 하단으로 내려오게 하여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엑셀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추가 기능을 통해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정렬, 필터, 중복된 항목 제거, 데이터 유효성 검사 등을 고정해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빠른 실행 도구는 상단에 한글 메뉴가 바뀌더라도 항상 상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뉴를 찾아 헤매시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2-2. 단축키 설정
ALT 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번호가 하나씩 매겨져 있는 게 보이실 겁니다. 이는 여기 있는 번호를 이용해서 단축키를 활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ALT키를 누르신 상태에서 해당 번호를 누르는 방식으로 나만의 단축키와 단축 메뉴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당 번호를 나만의 번호로 바꿀 수 있을까요?
도구 모음 아이콘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셔서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사용자 지정에 들어갑니다.
다음 화면 오른쪽에서 자주 쓰지 않는 메뉴는 삭제해주시고 자주 쓰는 메뉴는 왼쪽에서 추가를 해주십니다.
그런 뒤에 원하는 번호로 이동하는 오른쪽 끝에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순서를 지정해 줍니다.
단축키 설정에는 정해진 정답은 없고 많이 쓰시는 기능을 설정하여 나만의 단축키 구성을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효율적인 엑셀 작업 환경 세팅방법과 엑셀 단축키 설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초반 설정을 잘해놓으시면 이후 작업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학업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테스트 시험 총정리 시험일정, 신청, 공부법 및 교재 추천 (0) | 2023.06.20 |
---|---|
산업 안전 기사 응시자격 요건 취업 전망 공부법 연봉 총정리 (0) | 2023.06.19 |
지게차 운전 기능사 시험 및 취업전망 총정리 (0) | 2023.06.18 |
수목치료 기술자 하는 일과 취득방법 양성기관 및 총정리 (0) | 2023.06.16 |
아이돌보미 국가 자격증 및 양성교육 (0) | 2023.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