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직업정보

왜 전기 기능사를 해야 할까?

by 진요셉 2020. 11. 11.
반응형

왜 전기 기능사를 해야 할까?

 

What

--정의--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

 

--하는 일--

전기 및 전자설비 조작원은 주로 병원, 빌딩 등의 일반 건물이나 산업용 설비업체에 소속되어 일하기 때문에 전기시설관리원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소속 사업체의 특성에 따라 업무가 다소 다른데, 일반적으로 사업체 및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를 받고 전달하는 수전 및 배전설비, 발전기나 변압기 등의 전기장치를 유지·관리하며, 필요시 보수작업을 수행합니다.

 

새로운 설비를 설치하거나 전기선을 연결하기도 합니다. 평소에는 주로 수·배전반, 발전기 등의 전기설비 등이 올바로 작동하는지를 일정 시간마다 점검하고 기록합니다.

 

테스터 기기 등과 같은 전기측정계기를 사용하여 저항,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하여 전기 및 전자설비의 문제나 건물 내 시설의 누전, 합선 여부 등을 파악합니다.

 

노후한 부품 등을 교환 하거나 수리하며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하는 제품은 전문업체에 수리를 요청합니다.

 

전기설비나 전기선의 가설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고 정전 시에는 수·배전반의 계기를 재조정하는 등 응급조치 업무도 수행합니다.

 

 

근무환경

각종 빌딩이나 공장, 아파트, 병원 등의 전기실, 기관실에 상주하면서 일합니다. 작업 현장은 기계, 전기 장치의 작동 때문에 소음이 있으며, 기계 및 전기장치를 조작하면서 발생하는 위험 등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합니다.

 

설비자동화시스템을 갖춘 큰 건물에서는 중앙감시반에서 설비운전 업무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앙감시반이나 전기실이 건물 지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양호한 편은 아닙니다. 또한 정기점검과 보수를 위해서 건물 구석구석을 돌아다녀야 합니다.

 

 

 

HOW

--되는 길--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합니다. 특성화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자동제어 및 전기·전자, 컴퓨터 관련 교육을 받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전기·전자 및 기계이론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조작 대상이 되는 구조물인 상가건물, 아파트, 개별 공장 등의 전기설비의 특징을 파악하는 안목이 있어야 합니다. 전선이나 부품은 색으로 구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색맹·색약은 취업하기 어렵습니다. 취업할 때는 학력보다는 전기산업기사나 전기 기사 등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이들의 채용은 학교나 직업훈련기관의 추천이나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생활정보지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빌딩이나 공장 등과 같은 시설에서 근무하는 경우 채용기관과 직접 채용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고, 소규모 조직인 경우는 전기안전기술 대행업체 소속으로 파견되어 근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업체 등의 산업 및 대형병원 등 상시로 유지·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에서는 관련 계통의 정해진 직급체계에 따라 관리자로 승진할 수 있습니다.

 

관련 학과

특성화고등학교,

전문대학의 전기·전자공학 관련 학과,

자동제어과, 전기·전자과, 컴퓨터 관련 학과 등

 

관련 자격

전기기사/산업기사/기능장/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광산보안 기사/산업기사/기능사

 

 

--적성 및 흥미--

건물이나 전기기계장치의 설계도, 배선도나 기타 명세서를 해석하고, 전기배선 및 관련 장치의 부품 상호 간의 배열, 위치, 관계 등을 그릴 수 있는 공간지각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작업에 필요한 수공구나 실험기구를 기술적으로 사용하여 전선, 스위치, 계량기 및 기타 부속품을 설치하거나 수리하기 때문에 안전과 보안, 물리, 기계, 공학과 기술, 건축 및 설계에 관한 지식이 요구되며, 갑작스러운 정전사고 등의 위기상황에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전망--

향후 10년간 전기 및 전자설비 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 고용정보원,」(한국고용정보원 2017)

 

‣ 증가요인

최근 고층 주거 공간 및 건물의 급증

전기사업법 제73조 제1항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전기안전관리자 선임해야 함

 

감소요인

전기설비 자동화와 스마트 그리드의 가속화

 

 

Why

전기 기능사를 통해 본 why

 

전기 기능사의 적성 및 흥미에서 살펴보았듯이 전기 기능사가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가 필요합니다.

 

 

 

3가지가 각각 다른 능력인 듯하지만, 사실 1가지만 기억하면 하나의 틀로 이어져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구조화입니다.

 

업무와 관련한 각종 지식을 잘 구조화시켜 놓으면 복잡한 건물의 설계도나 배선도, 관련 장치의 부품 상호 간의 배열 등을 쉽게 파악해놓을 수 있습니다. 공간지각 능력으로 이어진다는 것이죠.

 

구석구석 잘 파악이 되어 있을수록 갑작스러운 상황에 보다 여유롭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구조화시킴으로써 공간지각 능력, 위기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식의 구조화는 비주얼 싱킹’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보다 직관적이고 보기 쉽게 구조화시킬 수 있습니다. 비주얼 싱킹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른 글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 기능사를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구조화를 통해 필요한 능력을 잘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