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이 우선되어야 한다.
.
.
우리나라에는
'빨리빨리'라는 문화가 있습니다.
.
.
사실 이런 문화는 산업화가 이뤄지며
항상 빠른 속도로 일을 처리해야 되는
마감시간이 생기면서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
다만 한국의 경우 산업화가 한 세대 만에
이루어져 그 속도가 더욱 급격했기 때문에
유독 빨리빨리 문화가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이지요.
.
.
이러한 문화 때문인지,
우리 교육도 빨리빨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
조기교육의 시작 연령은
날이 갈수록 어려지고 있어서
이미 초등학교 때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마친 친구들도 많아졌습니다.
.
.
학생들은 마치 앞만 보고 달리는
경주마처럼 대학교와 취업이라는 골인지점을
향해 미친 듯이 달려 나가고 있습니다.
.
.
남들보다 더 좋은 대학에 가고,
더 좋은 직장에 들어가느냐가
학생들의 목표가 되어버렸습니다.
.
.
목표점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들은
계속 그곳을 바라보고 노력하거나
이내 포기해 버리고 맙니다.
.
.
운좋게 목표점에 도달한 학생들 또한
이제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점과 함께
회의와 혼란을 겪게 되지요.
.
.
너무나 익숙하게 들어왔던 말이지만
인생은 속도 보단 방향이 중요합니다.
.
.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방향이 정해지지 않으면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고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잘못 잡았던 방향을 전환하는데
더 많은 힘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
.
한 번 사는 인생에서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는 유한하고
매우 소중하기에
그 가치만큼 의미 있게
사용되어야 함이 마땅합니다.
.
.
그렇기에 소중한 나의 시간과 에너지를
기꺼이 투자하고자 하는
인생의 방향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입니다.
.
.
우리는 어떻게 하면 인생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을까요?
.
.
인생의 방향을 다른 말로 하면
'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비전은 어떤 직업이나 일이 아닙니다.
.
.
비전은 자신이 전 인생을 거쳐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입니다.
.
.
비전이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 신념일 수도 있고,
어떤 이에게는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을 발명하는 것 일수도 있고,
또 어떤 이에게는
사회문제의 해결일 수도 있습니다.
.
.
중요한 것은 누군가가 시키거나
강요한 것이 아닌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비전을
세워나가는 것이지요.
.
.
인생의 방향인 비전을 세워나가기
위해서는 2가지를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
.
첫 번째는 조바심을 내지
않는 것입니다.
.
.
비전을 세워나가는 일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
.
내가 추구하는 가치를 찾기 위해서
끈질기게 나를 들여다봐야 하기 때문이죠.
.
.
나에 대한 많은 사색과 성찰을 통해
내가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발견할 수 있습니다.
.
.
MBTI나 홀랜드 검사와 같은
일회성 검사로 도출된 유형들은
세계 70억 인구 중에서 단 한 명뿐인
'나'라는 사람을 정확히 설명할 수 없습니다.
.
.
그러니 여유를 가지고
차분히 자신을 들여다보십시오.
.
.
하루에 10분이라도 좋습니다.
.
.
시간을 정해서 자신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해보시고
이를 기록해보시길 바랍니다.
.
.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은 뭐지?"
"내가 돈을 들여서라도
배우고 싶은 것은 뭐지?"
"내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뭐지?"
와 같은 질문들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스스로 내려보는 겁니다.
.
.
성찰의 시간과 기록이 쌓인 뒤
그것을 다시 보았을 때
반복적으로 나오거나
접점이 있는 내용들이 있다면
그것이 여러분의 비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
두 번째는 성과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
.
우리는 성과에 대한 칭찬을
받으며 자라왔습니다.
.
.
어렸을 때부터 칭찬의 기준은
성적과 같은 성과였죠.
.
.
그래서 그런지 우리는 성과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열심히 했더라도 성과가 좋지 않으면
쉽게 좌절하고 낙심하기까지 합니다.
.
.
그러나 비전을 세워나가는 핵심은
성과가 아닌 배움과 성장에 있습니다.
.
.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금의 실력이 중요하지만
배움과 성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
.
배움과 성장은 배우고자 하는
겸손한 마음가짐이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
.
결과를 말하는 성과가 아닌
과정을 말하는 배움과 성장에 초점을 맞춰
살아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내가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뤄내거나,
자발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어떤 분야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그 분야가 여러분이 갈고닦아
비전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직업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낸다는 것은
그것을 잘하고 있다는 뜻이고,
자발적으로 배우고자 한다는 것은
그것을 좋아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
.
명심하십시오.
눈앞의 성과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
과정에 초점을 맞출 때 비로소
내가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
우리는 늘 열심히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모르고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
.
그리고 방향 선택을 잘 못했을 때
책임은 오로지 개인의 몫인 것이
우리가 처해진 현실입니다.
.
.
억울한 것이지요.
열심히 한 죄밖에 없는데 말입니다.
.
.
어쩌면 빨리빨리의 문화 속에서
그저 열심히만 하면 된다는
사회의 달콤한 말에
속았던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
하지만 방법은 분명 있습니다.
지금도 결코 늦지 않았습니다.
.
.
조바심과 성과에 대한 집착을
벗어던지고 차분한 마음으로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보시길 바랍니다.
.
.
그래서 모두가 "오른쪽이
빠르고 좋은 길이야"라고 말하더라도
"천천히 가는 왼쪽이 난 더 좋아"라고
말할 수도 있는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진로교육 #인생은속도보단방향
#진로 #교육 #책 #비전
'진로 > 자아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 끄기의 기술] 중요한 것만 생각하기 (8) | 2020.10.16 |
---|---|
상처에서 벗어나기 (10) | 2020.10.14 |
수능 위주의 입시는 진로교육이 아니다. (8) | 2020.09.28 |
MBTI로 바라본 진로교육 (2) | 2020.09.23 |
코로나 초등학교 열 감지 알바와 진로교육 (0) | 2020.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