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3가지 변화
.
.
코로나19는 비즈니스, 경제 및 사회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쳤습니다.
.
.
중요한 것은 코로나19가
장기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지요.
.
.
보다 정확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예측능력이 필요합니다.
.
.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가
예측한 코로나 이후의 변화에
대해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
.
첫 번째는 재택근무의 증가입니다.
.
.
코로나 팬데믹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비대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
기업 입장에서 많은 인력이
사무실 밖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해도
이에 대해 거부감이 강했는데,
이제는 어쩔 도리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죠.
.
.
재택근무가 갖는 부가 가치는 분명합니다.
.
.
직장인들에게 재택근무는 시간,
연료 및 기타 비용의 지출을 줄여주고
고용주로서는 사무실 공간, 주차 공간,
장비 시설, 사무실 용품 등
다양한 지출이 줄어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죠.
.
.
문제는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직종과 그렇지 못한 직종이
나뉜다는 것입니다.
.
.
노동자는 일의 종류에 따라
필수 노동자
지식 노동자
그 외 노동자로 나뉩니다.
.
.
필수 노동자는 의료, 공공시설,
제조업, 농업, 유통망 그 외에
경제가 굴러가고 사회 전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산업들에 종사하는 사람들입니다.
.
.
지식 노동자는 기술, 금융,
사무, 행정, 경영
여타 분야의 많은 산업군이
여기에 속합니다.
.
.
마지막으로 그 외 노동자들은
말 그대로 필수 노동자나
지식 노동자가 아닌 인력을 말합니다.
.
.
식당, 술집, 영화관, 네일숍 등
서비스 기반의 일들이 대표적이죠.
.
.
이 중에서 재택근무가 가능한
노동자는 지식노동자입니다.
.
.
기술을 통해 원격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죠.
.
.
다르게 말하면 지식노동자로
산다는 것이 직업 종말의 시기에
살아남는 방법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
.
미래의 전문직을 살펴보면
원격 업무를 기반으로 합니다.
.
.
비즈니스 직업과 전문가의 역할은
대부분 온라인화가 될 것입니다.
.
.
두 번째는 온라인 교육의 확대입니다.
.
.
앞서 코로나 이후의 사회에서
지식 노동자가 살아남기
유리하다고 이야기했듯이,
지식 노동자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입니다.
.
.
지식 노동자로서
효과적으로 온라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교육이 필요하기에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은
크게 높아질 것입니다.
.
.
그 말인즉 교육에 대한 수요
역시 덩달아 오를 것을 의미합니다.
.
.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돈을 많이 벌고
직장을 잃을 가능성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
.
교육의 미래는 온라인입니다.
.
.
오래전부터 미래학자들은
미래 교육에 대해서 그러리라
예측해왔습니다.
.
.
코로나로 인해 이와 같은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
온라인 교육이 확산됨에 따라
교육에 들어가는 중간 단계 비용이
사라질 것이고
시스템의 보편화로 보다 많은 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
과거에는 사람들이 교육에 비싼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었습니다.
.
.
그랬을 때 보장되는 확실한
네트워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
.
그것이 불가능해진 온라인
교육에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려 하진 않을 것입니다.
.
.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듣는 온라인
강의를 유튜브 보듯 수강하는
자녀들을 보며 부모님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상상해보면
답이 금방 나옵니다.
.
.
이에 따라 중간 단계 비용이
사라질 것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
.
마지막 변화는 의료 분야 쏠림 현상입니다.
.
.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변덕스러운 금융시장, 닥쳐올 자동화 시대에
오랜 기간 변하지 않을 분야는
의료분야입니다.
.
.
의료 지출은 자기 마음대로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기를 정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
.
병원 치료가 필요하면 어쨌거나
치료를 받아야 하지요.
.
.
의료 서비스는 국민총생산이나
주식 시장의 상황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분야가 아니며
사람들의 경제 상황과는
상관없이 꾸준히 필요로 할 상수입니다.
.
.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입니다.
.
.
이에 따라 투자 및 정책을
통해 전반적인 공중 보건 상황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
의료 및 보건 분야를 선택하는
이들은 늘어날 것이고
향후 의료기기 및 개인용 의료
보호구의 공급 부족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의료 공급망을 정비하고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커질 것입니다.
.
.
겨울이 지나면 반드시 봄이 옵니다.
.
.
위기의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회복은 찾아올 것이지요.
.
.
코로나라는 위기의 시간을 지나며
개인과 기업, 사회의 회복을
도울 기회를 찾고,
변화에 적응할 방법을 찾아
구체적으로 커리어를 조정하려 한다면
우리는 회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입니다.
.
.
#진로교육 #책리뷰 #책뜯어먹기
#코로나_이후의_세계 #계획 #예측
'기타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이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진짜 이유 (6) | 2020.12.02 |
---|---|
왜 사람들은 가짜사나이에 열광하는가 (5) | 2020.10.01 |
코로나 시대 꼭 기억해야 하는 4가지 (13) | 2020.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