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생 공부할 수 있는 사람일까?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동일한 비즈니스 모델로
10년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사회가 그만큼 빠르게 급변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기업은 애초에 직원들을 뽑을 때,
새로운 지식을 단시간에 습득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찾는다고 합니다.
.
.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는 말을
한 단어로 표현하면
공부라는 단어가 떠오르는데요.
우리는 평생 공부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중, 고등학생 심지어 대학생까지
학교에서 가르쳐주는 것만을 배우고 익혔던 나는
평생 공부할 수 있는 사람일까요?
.
.
이 질문을 잠시 내려놓고 공부의
정의부터 정리하고 가야 할 거 같습니다.
책의 저자는 공부는 배우고 익히는 것만이 아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공부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
.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생들은 이러한
공부가 아닌 주어진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답하기 위한 공부를 해왔습니다.
시험을 잘 봐서 좋은 대학,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는 하지만
‘공부하지 못하는 사람’이 된 경우가 많습니다.
변화와 위기 상황을 잘 헤쳐 나가지
못하는 것이지요.
.
.
가르쳐주는 방식으로 열심히 공부했는데,
공부를 못하는 사람이라니 참 아이러니합니다.
이는 개인의 비극임과 동시에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인 거 같습니다.
.
.
저는 그럼에도 희망을 잃지 않습니다.
공부하는 능력은 충분히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학생들은 영리하고 똑똑하기에
나아갈 방향성을 잘 제시해 준다면
필요한 역량을 잘 키워나갈 것입니다.
.
.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가장
필요한 것은 공부하는 능력입니다.
이를 키우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과
더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잃지 않는 태도가 필요한 거 같습니다.
.
.
#진로교육 #현대인들은어떻게공부해야하는가
#책리뷰 #책뜯어먹기 #독후감 #핵심역량
'진로 > 자아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에서 벗어나기 (10) | 2020.10.14 |
---|---|
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이 우선되어야 한다. (22) | 2020.10.03 |
수능 위주의 입시는 진로교육이 아니다. (8) | 2020.09.28 |
MBTI로 바라본 진로교육 (2) | 2020.09.23 |
코로나 초등학교 열 감지 알바와 진로교육 (0) | 2020.08.01 |
댓글